소상공인확인서 발급 방법 (홈페이지 바로가기)

 

소상공인 확인서 발급 총정리

안녕하세요! 소상공인이라면 정책자금, 보조금, 공공입찰 등 다양한 지원을 받을 때 꼭 필요한 서류가 바로 소상공인 확인서예요. 

다행히 온라인으로 10~15분 정도면 신청이 가능하답니다. 오늘은 발급 방법부터 준비물, 주의 포인트까지 한눈에 정리해 드릴게요.

1. 발급 대상과 기준

  • 대상: 사업자등록을 한 개인·법인 사업자

  • 기준: 업종별 매출 기준과 상시근로자 수가 소상공인 규모 이하

    • 광업·제조·건설·운수업: 10명 미만

    • 그 외 업종: 5명 미만

  • 일용직, 단기 계약직 등은 상시근로자 수 산정에서 제외돼요.

  • 국세·4대보험 자료를 통해 자동 검증이 가능하니 대부분 간단하게 확인서 발급이 가능해요.

2. 준비물(전자파일)

  • 대표자 공동/간편 인증수단

  • 최근 부가세·원천세 신고자료 또는 재무제표

  • 4대보험 가입내역 (자동 연계 가능)

  • 필요 시 임대차계약서, 주주·지분 구조 자료

3. 온라인 발급 절차

  1. 로그인 또는 회원등록 후 대표자 인증

  2. 국세·4대보험 자료 자동수집 → 누락분만 파일 업로드

  3. 신청서 작성 (업종, 상시근로자 수, 관계기업 여부 체크)

  4. 전자서명 후 제출

  5. 심사 완료 후 확인서 발급 → PDF 출력/공유 가능

자동수집이 안 되는 경우 PDF 스캔본을 업로드하고, 보완 요청 시 재제출하면 돼요.

4. 처리기간·유효기간·원본 확인

  • 처리기간: 자료가 정확하면 보통 수일 내 발급

  • 유효기간: 통상 1년, 결산월에 따라 시작일 상이

  • 원본 확인: 제출처는 발급번호와 사업자등록번호로 즉시 검증 가능

5. 자주 막히는 포인트

  • 상시근로자 수: 1개월 60시간 미만 단기 근로자 제외

  • 매출 자료 불일치: 전기/당기 부가세 신고 누락 없는지 확인

  • 관계기업: 지분·임원 겸직 여부 확인 → 필요 시 주주명부 첨부

  • 용도: 입찰·보조금 등 제출처 기준일에 맞춰 최신 확인서 제출

6. FAQ

Q. 개업한 지 얼마 안 됐어요. 자료가 부족한데요?
→ 직전 신고분이 없으면 최근 부가세/원천세 대체 자료로 심사하며, 필요 시 보완 요청이 옵니다.

Q. 직원 수가 늘었다가 줄었어요. 어떤 수를 쓰나요?
→ 월평균 상시근로자 기준으로 산정하며, 일용·단기 근로자는 제외합니다.

Q. 발급이 급해요. 당일 가능할까요?
→ 자동수집과 서류가 완벽하면 당일~수일 내 발급 가능하지만, 보완 발생 시 지연될 수 있어요.

7. 체크리스트 ✅

  • 업종별 상시근로자 수와 매출 기준 충족 여부 확인

  • 국세·4대보험 자동수집 → 누락만 업로드

  • 관계기업·지분 구조 점검

  • 제출처 요구일자에 맞춰 최신 확인서 제출



댓글 쓰기

0 댓글

이 블로그 검색

신고하기

프로필

이미지alt태그 입력